영화3 철학적 관점으로 바라본 영화 기생충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관점으로 본 영화 그리스 철학자인 소크라테스는 사회가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 정의와 평등의 중요성을 강하게 믿었다. 그는 정의로운 사회가 개인의 능력과 사회에 대한 기여를 바탕으로 보상받는 성과주의 체제로 운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화 "기생충"은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원칙에 반하는 불평등한 사회를 묘사한다. 이 영화는 소수의 사람이 대부분의 부와 특권을 가지고 있지만 대다수의 개인은 먹고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사회를 묘사한다. 소크라테스는 그러한 사회는 개인의 장점보다는 출생과 사회적 지위와 같은 자의적인 요소에 기초하여 개인에게 보상을 주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부당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소크라테스의 관점에서, "기생충"은 정의와 도덕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제기한다. 소크라테스는 정의가.. 2023. 3. 18. 헐리우드 영상기술의 끝판왕 아바타 물의 길 물의 길 촬영기법 및 제작 비하인드 스토리 오래전부터 아바타를 준비해 온 제임스 카메론 감독이 만든 아바타 1에서 cg 기술의 혁명을 일으켰던 영화 아바타 시리즈는 2009년을 회상해 보면 그때의 기술로는 도저히 불가능 생각조차 할 수 없었던 그 어려운 일을 창조해 내기에 이르렀다. 3m라는 장신의 나비족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영화를 촬영했는데 아바타는 영화의 3분의 2 정도가 cg였다고 밝혔다. 제임스 카메론의 sf 장르 영화이자 아바타 시리즈 두 번째 작품 물의 길 또한 단순하지만 이해하기 쉬운 스토리와 혁신적이고 독보적인 영상미로 개봉당시부터 매우 큰 돌풍을 일으켰다. 기존 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는 뛰어넘는 미지의 영역을 개척하였다. 카메론은 얼굴에 고무를 뒤집어쓰는 분장술로.. 2023. 2. 3. 제임스 카메론이 만든 완벽한 영화 아바타 아바타의 유래 아바타의 말은 인도의 신화에서 온 말로 인도 최고의 신 중 하나인 비슈누란 신은 다양한 모습으로 인간의 몸으로 나와 인간세상에 개입하여 구원을 베푸는 신으로 이때 비슈누가 변신한 모습들을 아바타라고 부른다. 만물에 신의 의지가 깃들어 있는 것 또한 힌두교 사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영화에서 나비족이 파랗게 생긴 이유는 인도의 신 비슈누의 피부색이 파란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아바타의 어원은 "신의 강림"이라는 뜻으로 아바타라는 말 자체도 인도의 힌두교에서 유래되었다. 아바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영화를 통해 영원히 꿈꿀 수 있고 주인공의 의식대로 아바타를 움직이면서도 또 다른 자신을 살아낼 수 있는 것이다. 이 아바타 역시 체험의 영화이자 3D영화의 진면목을 보여준 작품이기도 하다. 자.. 2023. 1. 2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