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철학적 관점으로 바라본 영화 기생충

by 어문 2023. 3. 18.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관점으로 본 영화 

그리스 철학자인 소크라테스는 사회가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 정의와 평등의 중요성을 강하게 믿었다. 그는 정의로운 사회가 개인의 능력과 사회에 대한 기여를 바탕으로 보상받는 성과주의 체제로 운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화 "기생충"은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원칙에 반하는 불평등한 사회를 묘사한다. 이 영화는 소수의 사람이 대부분의 부와 특권을 가지고 있지만 대다수의 개인은 먹고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사회를 묘사한다. 소크라테스는 그러한 사회는 개인의 장점보다는 출생과 사회적 지위와 같은 자의적인 요소에 기초하여 개인에게 보상을 주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부당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소크라테스의 관점에서, "기생충"은 정의와 도덕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제기한다. 소크라테스는 정의가 최고의 선이며 정의로운 삶을 사는 것이 행복을 얻기 위해 필요하다고 믿었다. 영화에서, 김 씨 가족은 부유한 박 씨 가족을 착취함으로써 그들의 삶을 개선하려고 한다. 하지만, 그들의 행동은 궁극적으로 부당하고 도덕적으로 잘못된 것으로 드러난다. 소크라테스는 또한 무지가 악의 근원이며 지식은 덕망 있는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하다고 믿었다. '기생충'에서 김 씨 가족은 지적이고 지식이 풍부한 것으로 그려지지만, 그들의 행동이 가져올 결과를 이해하는 지식과 지혜가 부족하다. 또한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생각과 그것이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박 씨 가족은 특권층을, 김 씨 가족은 소외 계층을 대표한다. 김 씨 가족은 살아남기 위해 속임수와 조작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반면, 박 씨 가족은 그들의 투쟁을 모르고 그들의 부와 지위를 당연하게 여긴다. 이는 소외계층에 대한 특권층의 책임과 사회적 불평등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요한 의문을 갖게 한다. 이에 '기생충'은 탐욕, 이기심, 도덕적 상대주의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성 이야기로 볼 수 있다. 정의롭고 조화로운 사회를 만드는 데 있어 정의와 지혜, 공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우리 자신의 가치와 행동에 대해 성찰하도록 해야 한다.

주인공 아들 기우의 시선으로 본 세계관

주인공의 아들 기우는 그의 가족의 사회적, 재정적 상황을 개선하기를 원하는 지적을 하고 야심에 찬 젊은이로 그려진다. 기우의 세계관은 가난 속에서 살아온 경험과 그것을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에 의해 형성되었다. 기우의 세계관은 절망감과 성공은 부정직과 기만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믿음이 있는 것이다. 그는 자기 가족의 가난을 그들의 성공에 극복할 수 없는 장벽으로 보고 그것을 극복하는 유일한 방법은 다른 사람들을 조종하고 착취하는 것이라고 믿는다. 그의 행동에도 불구하고 기우는 본질적으로 사악한 인물이 아닌 자신의 상황에 의해 필사적인 수단으로 내몰리는 인물로 그려진다. 그의 세계관은 사람들이 살아남기 위해 과감한 행동을 취하도록 강요하는 빈곤과 사회적 불평등이라는 광범위한 사회 문제를 반영한다. 영화 내내 기우는 자기 행동이 가져올 결과와 그것들이 주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직면하면서 세계관에 직면하게 된다. 이것이 죄책감을 증가시키고 그의 행동이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줬다는 깨달음을 얻게 된다. 궁극적으로 기우의 세계관은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 있어 공감과 연민, 정의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면서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영화가 끝나고 난 뒤의 씁쓸함

'기생충'은 불우한 사람들에게 삶의 냉혹한 현실을 묘사하는 것을 피하지 않고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 문제를 깊이 파고드는 영화다. 그것은 소수의 개인이 모든 부와 특권을 소유하는 반면, 다른 많은 사람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사회를 묘사한다. 영화를 보는 동안 내내 부유한 가족의 호화로운 생활 방식과 김 씨 가족의 비좁은 생활 환경 사이의 극명한 대조 때문에 영화가 끝난 후에도 한참 동안 일어나지 못한 채 자리에 앉아있었다. 씁쓸함을 경험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전반적으로 영화 '기생충'은 사회에 더 큰 사회적·경제적 평등의 필요성, 공감과 연민의 중요성, 권력의 역학이 개개인과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어필하고 있다.

댓글